자동차/전기차 구매하기

사회 초년생의 첫차 구입 - 06. 테슬라 모델 3 스탠다드 플러스 실구매가 계산(+현금 80만원 캐시백 받기)

이성킹 2020. 3. 2. 00:50

테슬라 모델 3 스탠다드 레인지 플러스

어느새 나의 모델 3 차량 인도일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12월 말에 계약을 했으니 2달이 약간 넘는 시간이 지났고 상대적으로 차량을 빨리 인도받게 되었다.(모델 3 초기 계약자의 경우에는 인도까지 2년이 넘게 기다린 경우도 종종 있다.)

 

차량을 인도 받기 전에 테슬라 코리아에 차량 대금을 납부해야 하는데 실제 어느 정도 금액을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나의 경우에는 할부나 대출로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자를 없애기 위해서 카드 일시부로 대금을 지급하고자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얼마가 필요한지 계산할 필요가 있었다.

내가 계약한 차량은 지난 포스트에 정리했듯이 가능한 모델 3 중 저렴하다고 할 수 있는 스탠다드 레인지 플러스 트림이며 옵션이 전혀 없다. 사회 초년생의 첫차 구입 - 05. 테슬라 모델 3 스탠다드 플러스 계약하기

이 경우에 실제 차량 인도 전에 납부해야 하는 금액은 다음 표와 같다.

항목 금액
차량 구매가 ₩53,690,000
취등록세 ₩2,016,636
보조금 -₩13,000,000
어댑터 미지급비 -₩743,000
계약금 -₩3,000,000
등록대행 ₩75,000
총 비용 ₩39,038,636

차량 구매가에 취등록세를 더하고 보조금과 어댑터 미지급에 비용(J1772, 차데모 어댑터가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 비용만큼 할인해줌)과 이미 지불한 계약금을 제하고 차량의 등록 대행 비용까지 더하면 납부해야 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내가 준비해야 하는 돈은 4천만원에 약간 못 미치는 3900만 원이며 나는 이 금액을 카드 일시불로 지불하고자 한다.

현금이 확보된 상황에서 굳이 현금결제가 아닌 카드 일시불로 결제하는 이유는 카드사에서 캐시백을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카드사에서 현금을 캐시백 받게 되면 결제 금액의 2% 정도를 돌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금으로 결제하는 것보다 80만 원 정도의 이득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캐시백을 받는 방법은 네이버 테슬라 카페에 많은 정보가 있으니 카페 내에서 검색을 먼저 해보기를 권장한다. https://cafe.naver.com/noljatravel)

 

현재 테슬라 자동차 구매시에 캐시백이 가능한 카드는 하나카드와 삼성카드 두 종류뿐이기 때문에 혹시 차량 대금 지불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먼저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카드를 발급 받았거나 기존의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카드사 영업 직원을 통하여 사전에 캐시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결제를 진행해야 한다.

이때 일반적인 카드 결제와 다르게 카드사에서 발급한 임시 계좌에 지불할 금액을 선입금하고 그 뒤에 카드 결제를 진행한다.

따라서 현금 결제와 동일하게 필요한 대금이 현금으로 확보가 되어 있어야 하며 결제 시에 카드사가 개입하기 때문에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긴 하다.

 

또한 전액 현금 결제가 아니라 현금+할부로 결제하는 경우에도 현금 결제 금액만큼의 캐시백이 가능하기 때문에 꼭 사전에 알아보고 캐시백을 챙기기를 바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