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관련 제품 구매 - 03.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
220V 콘센트를 이용한 테슬라 모델 3 충전을 위하여 J1772 어댑터를 직구한 이후 추가로 필요한 것이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이다. (J1772 어댑터 직구 방법: 테슬라 관련 제품 구매 - 01. 테슬라 충전 어댑터 J1772 구입)
이동형 충전기라고 부르는 이제품은 사실은 그냥 일반 220V 콘센트에서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의미하며 파워큐브는 충전기 및 과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의 이름이다.
모델 3을 충전하기 위하여 J1772 어댑터는 거의 필수에 가깝지만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는 선택사항이다.
(어떤 사람이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를 구매해야 하는지는 아래에 정리하였다.)
제품은 아래 파워큐브 공식 구매 링크를 통하여 구매하는 것이 최저가이며 가격은 63만원이다.
사실 2019년까지는 이동형 충전기 구매에 대한 보조금이 나와서 동일한 제품을 20만 원에 구매가 가능하였지만 2020년부터는 보조금이 나오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전기차 이용자가 충전 요금으로 1년에 40만 원 정도를 지불하는 것을 생각하면 충전기 가격으로만 63만 원을 지불하는 것은 굉장히 아깝게 느껴진다.
이런 이유로 나도 이 제품의 구입을 망설였지만 사실 나에게는 집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
이 제품을 이용하면 (220V 콘센트)-(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J1772 어댑터)-(테슬라 모델 3) 이렇게 연결하여 충전이 가능해진다.
지하 주차장과 같은 공용 시설에는 220V 콘센트를 흔히 찾아볼 수 있지만 무턱대고 테슬라 구입 시 무료도 제공해주는 이동형 충전기(Mobile Connector)를 꽂았다간 전기 도둑(도전)으로 몰릴 수 있다.
이러한 Mobile Connector는 과금을 위한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정 내의 콘센트나 별도의 전기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회사 내의 콘센트와 같이 누군가 직접 전기 요금을 내는 환경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환경을 가진 사람은 흔치 않을 것이라 생각하며 대부분은 지하주차장 내에 있는 220V를 이용할 것인데 이때 위와 같이 전기차 충전을 위한 RFID 태그가 붙어있는 콘센트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태그도 아직까지 단일화되어 있지 않고 관리하는 업체가 여러 곳이 있으며 현재 국내에 이러한 전기차 태그 설치 및 사업을 하는 업체는 파워큐브, 지엔텔, 에버온 등이 있다.
아직까지는 여러 업체가 경쟁하는 구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나마 가장 많은 태그를 보유한 업체가 파워큐브이다.
우리 아파트 지하주차장에도 파워큐브 태그가 부착된 220V 콘센트가 90개 이상 있으며 동시에 충전 중이 자동차는 항상 3개 이내였다.
마지막으로 파워큐브 태그의 위치 및 수는 아래 주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ev-line.co.kr/charge/search.asp
전기차를 구매할 계획이 있다면 꼭 거주하는 곳에 파워큐브 등 전기차 충전 태그가 붙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