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전기차 관련 용품 구매하기

테슬라 관련 제품 구매 - 04. 테슬라 충전 차데모(CHAdeMO) 어댑터 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

by 이성킹 2020. 2. 25.

출처: shop.tesla.com

지난 번 포스팅했던 J1772 어댑터에 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댑터인 차데모(CHAdeMO) 어댑터의 구매도 고려를 했었으나 결국은 구매하지 않았으며 오늘은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위키피디아에 나와있는 차데모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차데모(CHAdeMO)는 일본의 전기차 급속 충전 규격이다.

전기차 급속충전기 시장은 현재 일본의 차데모, 중국의 GB/T, 유럽의 CCS 콤보가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미국의 테슬라는 어댑터를 통해 차데모를 지원한다. 한국은 정부에서 CCS 콤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차데모의 단점은, 자동차에 싣고 다니는 충전기 단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이 짧은 글만 봐도 알겠지만 전기차 충전 규격은 아직까지 경쟁 중에 있으며 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개인적으로 전기차 충전기 규격의 이름은 하나같이 최악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테슬라 이용자의 입장에서 차데모는 슈퍼차져를 제외한 유일한 급속 충전기라고만 이해하면 된다.

J1772의 경우에는 AC 5핀 이라는 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완속으로만 충전이 가능한 것에 반해 이 차데모는 슈퍼차져와 비슷한 수준의 급속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완충까지 1시간 이내면 충분한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고속도로 휴게소 등 차데모 규격의 충전기가 설치된 곳이 국내에 많이 있기 장거리 운전을 할 일이 있다면 분명히 활용 가치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나는 차데모 충전 어댑터를 구입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구입할 계획이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가격

현재는 품절 상태이긴 하지만 테슬라 공식 쇼핑몰에서 차데모 어댑터를 450불에 판매하고 있으며 네이버 검색 최저가는 65만원 정도이다.

원래는 차데모와 J1772 어댑터는 차량에 포함된 제품이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이 두 어댑터를 지급하지 않고 차량 결제 단계에서 75만원 정도를 할인해주고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에는 차데모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이 큰 문제는 아니지만 충전 어댑터에 60만원이 넘는 금액을 지불하는 것은 너무 과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나는 차데모 어댑터와 가격이 비슷한 파워큐브 충전기를 구매하였기 때문에 충전기 구매에 돈을 더이상 쓰고 싶지 않았다. 

 

연간 전기차 충전 비용이 30만원 이내인 것을 생각하면 차데모 어댑터는 2년치 충전 비용에 해당된다.

또한 차데모를 이용한 충전은 급속 충전이기 때문에 완속 충전에 비하여 약 2배 정도의 충전 비용이 발생한다.

 

2. 활용 빈도

테슬라는 벌써 국내에 25 곳이 넘는 슈퍼차져를 설치하였으며 현재는 모델 3 사용자들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슈퍼차져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어느 곳으로 이동하더라도 중간에 슈퍼차져에 들르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말해 테슬라 이용자들은 굳이 비싼 요금을 내고 차데모 급속 충전을 이용할 필요가 전혀없다.

 

결론을 내리면 현재 테슬라 모델 3 구매자들은 차데모 어댑터, J1772 어댑터가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을 75만원 저렴하게 구입이 가능하며 원하는 경우 별도로 어댑터의 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차데모 어댑터는 가격이 과하게 비싸고 활용 빈도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구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

댓글